노골적으로 북한 편드는 중국
"천안함 안보리 문안서 北공격 명시적 표현하면 안 돼"
"공격 용어 사용하지 말고 대신 '사건'으로 해야"
"공격 용어 사용하지 말고 대신 '사건'으로 해야"
중국의 노골적인 '북한 편들기'가 심상치 않다.
최근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에 참여하고 있는 중국은 천안함 사태를 둘러싸고 북한을 비난하거나 그 책임을 인정하는 문건은 받아들일 수 없다고 주장하고 있다. 앞서 안보리의 천안함 사태 논의 자체를 탐탁지 않게 생각해 왔던 중국은 안보리의 천안함 관련 문안 협의 과정에서 북한의 공격을 명시적으로 표시하는 용어나 문구는 삭제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중국은 지난달 27일 발표된 G8(주요 8개국) 정상회의의 성명에서 '공격'이라는 단어를 사용한 것과 관련, 북한이 이 사건에 책임이 있다는 식으로 구체적으로 문안에 '북한'을 넣어서 비난한다거나 '공격(attack)' 이라는 용어를 사용하지 말고 대신 '사건(incident)'으로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중국은 천안함 합동조사단의 조사 결과에 따라 북한의 천안함에 대한 어뢰 공격이 명백한 정전협정 위반이고 도발행위이므로 북한의 책임임을 적시하고 이를 강도높게 비난하면서 사과와 재발방지 약속을 받아야 한다는 한·미·일의 태도에 난색을 표하고 있다. 북한의 책임을 입증하기 어렵기 때문에 북한을 명시해선 안 된다는 것.
최근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에 참여하고 있는 중국은 천안함 사태를 둘러싸고 북한을 비난하거나 그 책임을 인정하는 문건은 받아들일 수 없다고 주장하고 있다. 앞서 안보리의 천안함 사태 논의 자체를 탐탁지 않게 생각해 왔던 중국은 안보리의 천안함 관련 문안 협의 과정에서 북한의 공격을 명시적으로 표시하는 용어나 문구는 삭제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중국은 지난달 27일 발표된 G8(주요 8개국) 정상회의의 성명에서 '공격'이라는 단어를 사용한 것과 관련, 북한이 이 사건에 책임이 있다는 식으로 구체적으로 문안에 '북한'을 넣어서 비난한다거나 '공격(attack)' 이라는 용어를 사용하지 말고 대신 '사건(incident)'으로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중국은 천안함 합동조사단의 조사 결과에 따라 북한의 천안함에 대한 어뢰 공격이 명백한 정전협정 위반이고 도발행위이므로 북한의 책임임을 적시하고 이를 강도높게 비난하면서 사과와 재발방지 약속을 받아야 한다는 한·미·일의 태도에 난색을 표하고 있다. 북한의 책임을 입증하기 어렵기 때문에 북한을 명시해선 안 된다는 것.
앞서 G8 정상들은 지난달 27일 '최근 한국 해군 장병 46명이 희생된 천안함 침몰을 초래한 공격을 개탄하며 이에 대해 북한이 책임이 있다는 민·군 합조단 조사결과의 맥락에서 이를 야기한 공격을 비난한다'는 내용을 담은 공동성명을 채택했었다.
유엔 안팎에서는 북한측이 안보리의 대북 대응 조치를 막기 위해 중국과 러시아를 상대로 필사적인 외교적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는 얘기도 돌고 있다. 특히 중국 입장에서는 북한이 강하게 반발하고 있는 상황에서 북한 비난에 동조할 경우 북한이 어떤 일을 저지를지 알 수 없다는 점을 우려하고 있다는 게 유엔 주변의 관측이다.
일각에서는 중국이 북한에 대한 영향력을 상당히 상실한 상황에서 천안함 사태 자체보다 '한반도 정세'라는 틀에서 이 문제에 접근하는 것 같다는 의견을 내놓고 있다. 다만 안보리에서의 대응 조치 논의와 관련, 북한의 입장을 최대한 반영하겠다는 게 중국의 판단인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 5월 한국을 방문해 북한 어뢰공격에 의한 천안함 침몰사건의 원인을 조사했던 러시아 전문가들의 보고서 발표과 관련해 러시아 측의 대응 상황도 관심을 모으고 있다. 러시아 외무부의 안드레이 네스테렌코 대변인은 "러시아 측이 (천안함 침몰과 관련된 정보에) 접근을 허용받았다. 이들은 최종적인 보고서를 끝내고 있다"며 "보고서는 국가 지도부에 제출될 것이며 그런 다음 러시아가 어떤 조치를 취할 수 있게 될 것"이라고 1일 밝혔다.
한편 미국 국무부는 이날 천안함 사건을 논의중인 유엔 안보리가 북한에 대해 명확한 메시지를 전달하는 의미있는 성명을 발표하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필립 크롤리 국무부 공보담당 차관보는 이날 정례브리핑에서 "북한의 도발적 행동이 (국제사회에) 용납되지 않을 것이라는 점을 분명히 적시하는 의미있는 성명이 유엔 안보리에서 나오기를 원한다"고 강조했다.
일각에서는 중국이 북한에 대한 영향력을 상당히 상실한 상황에서 천안함 사태 자체보다 '한반도 정세'라는 틀에서 이 문제에 접근하는 것 같다는 의견을 내놓고 있다. 다만 안보리에서의 대응 조치 논의와 관련, 북한의 입장을 최대한 반영하겠다는 게 중국의 판단인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 5월 한국을 방문해 북한 어뢰공격에 의한 천안함 침몰사건의 원인을 조사했던 러시아 전문가들의 보고서 발표과 관련해 러시아 측의 대응 상황도 관심을 모으고 있다. 러시아 외무부의 안드레이 네스테렌코 대변인은 "러시아 측이 (천안함 침몰과 관련된 정보에) 접근을 허용받았다. 이들은 최종적인 보고서를 끝내고 있다"며 "보고서는 국가 지도부에 제출될 것이며 그런 다음 러시아가 어떤 조치를 취할 수 있게 될 것"이라고 1일 밝혔다.
한편 미국 국무부는 이날 천안함 사건을 논의중인 유엔 안보리가 북한에 대해 명확한 메시지를 전달하는 의미있는 성명을 발표하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필립 크롤리 국무부 공보담당 차관보는 이날 정례브리핑에서 "북한의 도발적 행동이 (국제사회에) 용납되지 않을 것이라는 점을 분명히 적시하는 의미있는 성명이 유엔 안보리에서 나오기를 원한다"고 강조했다.
'생활상식 > 시사·스포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월드컵] 스페인 60년만에 4강… 비야 결승골 (0) | 2010.07.04 |
---|---|
靑, 인적개편 급물살‥다음주 인선 마무리 (0) | 2010.07.04 |
안정환의 월드컵 피날레, 일장춘몽으로 끝나나 (0) | 2010.06.20 |
<월드컵> 나이지리아 "박지성만 없으면..." (0) | 2010.06.20 |
13세에 초등학교 처음 간 보육원생 이지용군 서울대 수시합격 (0) | 2010.06.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