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러분 한자급수에 대해 궁금하신 부분이 있으시면 여기를 이용해 주세요~~*^^* https://license.korcham.net/co/examschedule.do

 

 

 

종목소개 시험일정

 

license.korcham.net

 

 

 https://www.hanja.ne.kr/index_original.asp

 

 

:::::대한검정회:::::

제104회 자기주도형 온라인 (온라인) 한자급수 자격검정 시험

www.hanja.ne.kr

 

 

 

 

 

https://www.hanja.re.kr/

 

 

 

사단법인한국어문회

 

www.hanja.re.kr

 

 

 

 

 

https://web.hanja114.org/common/intro/examGuide.do

 

 

 

한국한자실력평가원

한자실력급수 자격시험 급수 현황 공인급수: 한자실력 사범, 1급, 2급, 3급(이상 4개 급수) 등록급수: 한자실력 준3급, 4급, 준4급, 5급, 준5급, 6급, 7급, 8급(이상 8개 급수) 급수 사범 1급 2급 3급 준3

web.hanja114.org

 

 

 

 

http://www.hanjapass.com/2008/sub01/sub01_02.asp

 

 

 

::한자급수인증시험::

홈 > 시험개요 > 시험요강 한자급수인증시험은 누구나 응시 가능합니다. 구분 1급 2급 3급 4급 준4급 5급 준5급 6급 준6급 7급 준7급 8급 준8급 배정한자 3,500 2,400 1,600 1,000 700 500 340 220 170 120 80 50 30 급

www.hanjapass.com

 

 

 

 


 한국어문회 기출문제 목록


Update 2017 0901  

by blog.daum.net/scan0

 1급2급3급4급5급6급7급8급준3급준4급준5급준6급준7급준특급특급
01회4_01
02회 2_02 4_02 6_02         
03회3_034_036_03
04회 2_04 4_04 6_04         
05회1_052_054_056_05
06회1_062_063_06  6_06         
07회1_073_074_076_07
08회 2_083_084_08  7_08 준3_08      
09회2_093_094_096_097_09준3_09준6_09
10회  3_10            
11회1_112_113_114_115_116_117_118_11준3_11준4_11준6_11
12회1_122_123_124_125_126_127_128_12준3_12준4_12 준6_12   
13회1_132_133_134_135_136_137_138_13준3_13준4_13준6_13
14회1_142_143_144_145_146_147_148_14준3_14준4_14 준6_14   
15회1_152_153_154_155_156_157_158_15준3_15준4_15준6_15
16회1_162_163_164_165_166_167_168_16준3_16준4_16 준6_16   
17회1_172_173_174_175_176_177_178_17준3_17준4_17준6_17
18회1_182_183_184_185_186_187_188_18준3_18준4_18 준6_18   
19회1_192_193_194_195_196_197_198_19준3_19준4_19준6_19
20회1_202_203_204_205_206_207_208_20준3_20준4_20 준6_20   
21회1_212_213_214_215_216_217_218_21준3_21준4_21준6_21
22회1_222_223_224_225_226_227_228_22준3_22준4_22 준6_22   
23회1_232_233_234_235_236_237_238_23준3_23준4_23준6_23
24회1_242_243_244_245_246_247_248_24준3_24준4_24 준6_24   
25회1_252_253_254_255_256_257_258_25준3_25준4_25준6_25
26회1_262_263_264_265_266_267_268_26준3_26준4_26 준6_26   
27회1_272_273_274_275_276_277_278_27준3_27준4_27준6_27
28회1_282_283_284_285_286_287_288_28준3_28준4_28 준6_28   
29회1_292_293_294_295_296_297_298_29준3_29준4_29준6_29
30회1_302_303_304_305_306_307_308_30준3_30준4_30 준6_30   
31회1_312_313_314_315_316_317_318_31준3_31준4_31준6_31
32회1_322_323_324_325_326_327_32 준3_32준4_32     
33회1_332_333_334_335_336_337_33준4_33
34회1_342_343_344_345_346_347_348_34준3_34준4_34 준6_34   
35회1_352_353_354_355_356_357_358_35준3_35준4_35준6_35
36회1_362_363_364_365_366_367_368_36준3_36준4_36 준6_36   
37회1_372_373_374_375_376_377_378_37준3_37준4_37준6_37
38회1_382_383_38     준3_38    준특_38특_38
39회1_392_393_394_395_396_397_398_39준3_39준4_39준6_39준특_39특_39
40회1_402_403_404_405_406_407_408_40준3_40준4_40 준6_40 준특_40특_40
41회1_412_413_414_415_416_417_418_41준3_41준4_41준6_41준특_41특_41
42회1_422_423_424_425_426_427_428_42준3_42준4_42 준6_42 준특_42특_42
43회1_432_433_434_435_436_437_438_43준3_43준4_43준6_43준특_43특_43
44회1_442_443_444_445_446_447_448_44준3_44준4_44 준6_44 준특_44특_44
45회1_452_453_454_455_456_457_458_45준3_45준4_45준6_45준특_45특_45
46회1_462_463_464_465_466_467_468_46준3_46준4_46 준6_46 준특_46특_46
47회1_472_473_474_475_476_477_478_47준3_47준4_47준6_47준특_47특_47
48회1_482_483_484_485_486_487_488_48준3_48준4_48 준6_48 준특_48특_48
49회1_492_493_494_495_496_497_498_49준3_49준4_49준5_49준6_49준7_49준특_49특_49
50회1_502_503_504_505_506_507_508_50준3_50준4_50준5_50준6_50준7_50준특_50특_50
51회1_512_513_514_515_516_517_518_51준3_51준4_51준5_51준6_51준7_51준특_51특_51
52회1_522_523_524_525_526_527_528_52준3_52준4_52준5_52준6_52준7_52준특_52특_52
53회1_532_533_534_535_536_537_538_53준3_53준4_53준5_53준6_53준7_53준특_53특_53
54회1_542_543_544_545_546_547_548_54준3_54준4_54준5_54준6_54준7_54준특_54특_54
55회1_552_553_554_555_556_557_558_55준3_55준4_55준5_55준6_55준7_55준특_55특_55
56회1_562_563_564_565_566_567_568_56준3_56준4_56준5_56준6_56준7_56준특_56특_56
57회1_572_573_574_575_576_577_578_57준3_57준4_57준5_57준6_57준7_57준특_57특_57
58회1_582_583_584_585_586_587_588_58준3_58준4_58준5_58준6_58준7_58준특_58특_58
59회1_592_593_594_595_596_597_598_59준3_59준4_59준5_59준6_59준7_59준특_59특_59
60회1_602_603_604_605_606_607_608_60준3_60준4_60준5_60준6_60준7_60준특_60특_60
61회1_612_613_614_615_616_617_618_61준3_61준4_61준5_61준6_61준7_61준특_61특_61
62회1_622_623_624_625_626_627_628_62준3_62준4_62준5_62준6_62준7_62준특_62특_62
63회1_632_633_634_635_636_637_638_63준3_63준4_63준5_63준6_63준7_63준특_63특_63
64회1_642_643_644_645_646_647_648_64준3_64준4_64준5_64준6_64준7_64준특_64특_64
65회1_652_653_654_655_656_657_658_65준3_65준4_65준5_65준6_65준7_65준특_65특_65
66회1_662_663_664_665_666_667_668_66준3_66준4_66준5_66준6_66준7_66준특_66특_66
67회1_672_673_674_675_676_677_678_67준3_67준4_67준5_67준6_67준7_67준특_67특_67
68회1_682_683_684_685_686_687_688_68준3_68준4_68준5_68준6_68준7_68준특_68특_68
69회1_692_693_694_695_696_697_698_69준3_69준4_69준5_69준6_69준7_69준특_69특_69
70회1_702_703_704_705_706_707_708_70준3_70준4_70준5_70준6_70준7_70준특_70특_70
71회1_712_713_714_715_716_717_718_71준3_71준4_71준5_71준6_71준7_71준특_71특_71
72회1_722_723_724_725_726_727_728_72준3_72준4_72준5_72준6_72준7_72준특_72특_72
73회1_732_733_734_735_736_737_738_73준3_73준4_73준5_73준6_73준7_73준특_73특_73
74회1_742_743_744_745_746_747_748_74준3_74준4_74준5_74준6_74준7_74준특_74특_74
75회1_752_753_754_755_756_757_758_75준3_75준4_75준5_75준6_75준7_75준특_75특_75
76회1_762_763_764_765_766_767_768_76준3_76준4_76준5_76준6_767준_76준특_76특_76
77회1_772_773_774_775_776_777_778_77준3_77준4_77준5_77준6_777준_77준특_77특_77
78회1_782_783_784_785_786_787_788_78준3_78준4_78준5_78준6_787준_78준특_78특_78
79회
80회               



각 급수를 클릭하면 기출문제를 받으실 수 있습니다.

 

  필요하신분은 마음껏 사용하세요.

  가져가실때 댓글이나 남겨주시길~

 

  * 참조 추천사이트 *

   韓國語文會           http://www.klls.or.kr
   다음카페창천항로  http://cafe.daum.net/hanjaexam

 

   감사합니다. 행복하세요~ ^^*



출처 : scan0.net
글쓴이 : scan0 원글보기
메모 : 시원하게 해결해 주시네요~감사!

'생활상식 > 교육·자격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자급수  (0) 2019.03.10
고은 시인 "문학은 쓰디쓴 것…핏덩이처럼 써라"  (0) 2013.01.08

고은 시인 "문학은 쓰디쓴 것…핏덩이처럼 써라"

일기 `바람의 사상`·대담집 `두 세기의 달빛` 출간매일경제

 

1970년대 어느 날 밤이었다. 문인들과 마신 술에 불콰해져 불 꺼진 집에 들어섰다. 라디오 소리만 방을 지키고 있었다. 조곤조곤 이어지는 이야기를 듣다 문득 일기를 써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렇게 고은 시인(80)은 일기를 쓰기 시작했다. 지금은 의식을 치르듯 반드시 몇 자를 적고서야 잠을 이룬다.

고은 시인의 70년대 일기 '바람의 사상'과 대담집 '두 세기의 달빛'을 한길사가 묶어 내놨다. 7일 한국언론재단(프레스센터)에서 열린 출간 기자간담회에서 그는 "전쟁이나 논쟁으로만 역사가 진행되는 건 아니다. 배추 값 같은 시정잡배들 미시사적인 서술행위도 의미가 있다. 비정치 분야 삶의 화석들, 궤적들, 고고학들이 우리를 얼마나 풍요롭게 하는가"라고 말했다.

'바람의 사상'은 73년 4월 6일부터 77년 4월 11일까지 하루하루를 담았다. 그의 일기는 시인의 개인사이자 당대 정치사회사다. 술 좋아하고 원고 쓰는 일에 쫓기고 그나마 받은 원고료를 또다시 술에 퍼붓는, 그의 표현대로 '폐허'처럼 살았던 모습과 자유를 위해 투쟁하는 지식인의 면모, 자기 글을 향한 비장한 각오도 엿보인다.

"문학 달지 마라. 문학 쓰디쓴 것이기를. 귀신이 토해내는 검은 핏덩이처럼 써라. 못 먹을 만큼 쓰디쓸 것. 달콤한 작가, 달콤한 계집, 달콤한 언어들을 살육하라."(1973년 4월 13일) 그는 "70년대의 나는 아주 순정 덩어리였다. 지금처럼 숙련된 눈으로만 파악해야 하는 시대와 상황이 아니었고 비논리적인 눈으로 세상을 보고 거리를 보고 울고 웃고 그랬다. 그때가 우리들의 소녀시절이었다"면서 "시인 고은의 시작점이자 또 하나의 고향이 70년대"라고 말했다.

반면 '두 세기의 달빛'에서는 소설가 김형수와 마주 앉아 그의 삶과 문학, 마주한 역사와 문명을 육성으로 들려준다. 그가 들추고 회상하는 과거는 1930년대에서 50년대 초까지다. 모국어를 잃은 식민지 소년이 광복을 맞고, 전쟁 뒤 폐허의 귀퉁에에서 마침내 시작의 첫걸음을 내디딜 때까지를 세밀한 기억력으로 더듬는다.

그렇게 술을 좋아하던 시인은 "요즘 술 먹는 시간이 아깝다.술보다 책이 더 좋다. 20대엔 언어도단이 나를 가장 신나게 했고 책을 부정하는 삶을 살았는데 후반 생애에 오면서는 전천후적으로 책과 함께 살고 있다"며 "그렇게 황홀하던 술집도 책보다는 부차적이 됐다"고도 했다. 그러면서 "문학의 시대가 쭈그러들고 있지만, 문학의 힘이 새로워질 거라는 확신을 늘 갖고 있다"고 했다.

신년에는 제법 긴 시간 외국에 머물 예정이다. 최근 이탈리아 베네치아대학에서 명예박사학위를 받고 한 학기 강의해 달라는 부탁을 받았다. 그곳에 가서 장래 구상도 해볼 생각이다. 5월에는 아프리카 남아공에서 시인 몇몇과 모여 축제에 참여한다. 그는 "우리 조상이 시작됐다는 기점인 아프리카 체험을 해보고 돌아오면 시 몇 편이 나올지 모르겠다"며 웃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