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평 아파트 거주·자전거 출퇴근·이코노미석…
미국 금융소프트웨어회사인 인튜이트의 최고경영자(CEO) 아론 패처(30)는 2년 전 자신이 창업한 개인재정상담 사이트 민트닷컴을 1억 7000만 달러(약 1790억원)에 매각해 돈방석에 올랐다.
실리콘밸리의 대표적인 청년 갑부지만 사는 모습은 평범하기 그지없다.
호화 주택에 고급가구, 최첨단 가전제품 대신 그는 실리콘밸리가 있는 팔로 알토 지역에서 600평방피트(약 56㎡) 크기의 방 한개짜리 아파트에 살며 낡은 소파와 TV를 사용한다. 물려받은 39년 된 갈색 가죽구두를 애지중지 아끼고, 12달러짜리 이발소를 애용한다.
페이스북의 공동창업자로 세계 최연소 억만장자인 더스틴 모스코비츠(27)도 샌프란시스코의 작은 아파트에서 산다.
새로 창업한 회사인 아사나까지 자전거로 출퇴근하고, 비행기는 일반석을 탄다. 반면 자신이 만든 자선단체에 기부하는 돈은 아끼지 않는다. 하버드대 동창으로 페이스북을 함께 만든 마크 저커버그와 마찬가지로 생전에 재산을 모두 사회에 환원하겠다고 약속했다.
"부(富)는 큰 집이나 번쩍이는 차보다 더 가치있게 쓰여야 한다."(패처) "명품을 지닌 나를 상상해 봤지만 이것들로 인해 삶이 더 의미있는 건 아니라는 결론을 내렸다. 물질이 행복을 가져다줄 수 없다."(모스코비츠)는 게 이들의 생각이다.
실리콘밸리에서 성공한 젊은 기업가들이 신분 상승의 전통적 상징인 스포츠카나 요트, 호화저택 등 물질적 풍요 대신 사회공헌 등 정신적 가치를 중시하고 있다고 로스앤젤레스타임스가 최근 보도했다.
페이스북 창업자 저커버그도 자신이 보유한 재산에 비하면 '소박한' 삶을 살고 있다.
얼마 전 팔로 알토에 700만 달러짜리 주택을 처음 구입하기 전까지는 낡고 좁은 아파트에서 살았다.
지난해 공립학교 발전 기부금으로 1억 달러를 선뜻 내놓은 그의 페이스북 프로필에는 '미니멀리즘'과 '욕망 자제'가 관심사로 등록돼 있다.
뉴욕대에서 인터넷 기업가들의 사회적 지위에 대한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은 앨리스 머위크 마이크로소프트연구원은 이에 대해 "이들은 신분상승에 관심이 없는 것이 아니라 찾는 방식이 다른 것"이라고 분석했다. 그는 "이들은 훌륭한 외모와 눈에 보이는 부, 멋진 몸매를 가꾸는 것을 가치있게 여기는 집단이 아니다."라면서 "실리콘밸리에서 성공의 척도는 무엇을 샀는지가 아니라 어떤 기업을 창업했는가에 좌우된다."고 말했다.
청년 갑부들이 과소비를 피하는 또 다른 이유로 에드워드 울프 뉴욕대 경제학과 교수는 "갑작스러운 재산의 증가에 적응하는 데 시간이 걸리고 자신들의 부가 언제까지 지속될지 몰라 조심하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이순녀기자 coral@seoul.co.kr
'생활상식 > 시사·스포츠·' 카테고리의 다른 글
[김정일 사망] 北매체 보도전문 (0) | 2011.12.19 |
---|---|
드라마보다 극적인 스티브 잡스의 일생 (0) | 2011.10.06 |
년 5천만원으로 위험처한 국민 구하라? (0) | 2011.05.10 |
십자가 사망 김씨 기사 (0) | 2011.05.09 |
[월드이슈] 힐러리 美 국무장관 24시 (0) | 2011.05.04 |